-
목차
1940년대부터 50년대까지 미국 문화는 유럽에 지배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뉴욕은 세계예술의 중심지가 되었고, 영화와 스타들 덕분에 헐리우드는 우아한 여성의 중심이었던 파리를 대신하여 패션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였습니다. 헐리우드 영화에 심취한 여성들은 좋아하는 배우가 착용한 옷과 쥬얼리의 복제품을 원헸고, 여주인공처럼 매혹적이고 싶어하며 그들과 같은 삶을 갈망했습니다. 아름답고 매력적이고자 하는 이러한 욕망은 1920년대부터 시작되어 30년대와 40년대에 지속적으로 확산된 기성복과 액세서리의 대량 생산을 통해 충족되었습니다. 기계화 덕분에 백화점들은 적정한 가격으로 최신식 의류와 액세서리들을 일년 내내 공급할 수 있었습니다. 한때 선택된 자들이 전유물이었던 패션이 이제는 평범한 여성들의 영역으로 옮겨졌습니다. 일반 여성들은 처음에는 영화를 통해, 1939년 이후에는 텔레비전을 통해 제안된 스타일로 대량 생산된 옷을 입기 시작했습니다. 패션에 대한 이와 같은 관심은 전반적으로 사회 모든 계층을 아우르는 주요 여성 잡지들과 통신판매 카탈로그의 급증으로 더욱 커졌습니다.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전쟁 산업이 번성하면서 여성들도 취업을 하게 되고 그 후 이들은 예상치 못했던 완전히 새롭고 풍요로운 환경에서 패션 소비자로 거듭나게 됩니다.
개념 및 어원
인조보석, 패션 주얼리, 정크 보석, 페이크(fake) 또는 폴랄러리(fallalery)라고도 불립니다. 코스튬 쥬얼리라는 용어는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코스튬(복장)"이라고 불리는 것을 지칭하기 위해 "코스튬"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던 것을 반영하였습니다.코스튬 쥬얼리(Costume jewelry)는 다양한 장식 아이템을 포함하며, 특정 유행 의상이나 의류를 보완하기 위해 저렴한 장식품으로 제조되었습니다. 코스튬 쥬얼리는 패션 쥬얼리(fashion jewelry)라고도 말합니다. 반면 "파인 쥬얼리(fine jewelry)는 비용이 더 많이 들고 주로 수집품, 기념품 또는 투자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파인 주얼리의 경우, 보다 고급 제품으로 간주되어 왔습니다.
쥬얼리의 소재와 특징
원래 코스튬 또는 패션 쥬얼리는 주석, 은, 니켈 또는 황동에 세팅된 라인 스톤이나 루사이트와 같은 저렴한 모조 보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대공황 시절에는 일부 제조업체가 생산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라인 스톤의 등급을 낮추기도 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대에는 스털링 실버가 의상 쥬얼리 디자인에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금속은 군사용도의 생산에만 이용될 수 있었기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었고, 스털링 실버가 백금과도 비슷하면서 금속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후 현대의 코스튬 쥬얼리는 더 많은 광범위한 소재를 사용하고 있습나다. 고급 크리스털, 큐빅 지르코니아, 모조 다이아몬드 및 일부 준보석이 보석 대신 사용됩니다. 금속에는 금도금 또는 은도금, 때로는 스털링 실버가 포함되었습니다. 저렴한 보석에는 주석, 니켈 또는 기타 금속 위에 금도금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플라스틱, 아크릴, 가죽 또는 목재가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주요 시대별 디자인 특징
(1) 아르 데코 시대(1920~1930년대)아르 데코 운동은 대량 생산과 예술 및 디자인의 감성을 결합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이 운동은 대공황과 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끝났습니다. 이 시기 코스튬 쥬얼리는 기하학적이고 대칭적인 테마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긴 펜던트, 팔찌, 칵테일 링, 담배 케이스와 홀더와 같은 정교한 액세서리 아이템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2) 레트로 시대(1935~1950년)
레트로 시대의 디자이너들은 예술과 대량 생산의 딜레마에 고민했습니다. 천연 소재가 플라스틱과 결합되었고, 레트로 시대에는 주로 미국산 보석이 사용되었는데, 그로 인해 뚜렷하게 미국 스타일이 되었습니다. 레트로 시대 코스튬 쥬얼리의 특징은 화려함, 우아함, 세련미였습니다. 헐리우드 감성의 꽃과 리본, 문스톤과 말 모티브, 발레리나 모티브 등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3) 아트 모던 시대(1945~1960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트 모던 시대의 디자인은 더욱 전통적이고 절제되었습니다. 제이드/오팔, 시트린 및 토파즈 등 대담하고 호화로운 보석이 사용되었고, 푸들 핀, 크리스마스 트리 핀 및 기타 크리스마스 보석 등이 대표적인 이 시기 디자인입니다. 또한 모드 시대의 도래와 함께 "바디 쥬얼리(Body jewerly)"가 등장했습니다. 킴 크래프트멘츠먼 쥬얼리(Kim Craftsmen Jewelry)의 칼 쉬멜(Carl Schimel)이 바디 쥬얼리의 선두에 있었습니다.
코스튬 쥬얼리의 역사
코스튬 쥬얼리는 거의 300년 동안 패션의 일부였습니다. 18세기에 보석상들은 저렴한 유리로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19세기에는 준보석 재료로 만든 코스튬 쥬얼리가 시장에 나왔습니다. 준보석 재료로 만든 보석은 더 저렴했고, 저렴함 덕분에 일반 사람들도 코스튬 쥬얼리를 소유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코스튬 쥬얼리의 진정한 황금기는 20세기 중반에 시작되었습니다. 중산층은 아름답지만 저렴한 보석을 원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보석에 대한 수요는 기계 시대와 산업 혁명과 일치했습니다. 이 혁명으로 인해 유물/귀중품의 복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계층 구조가 바뀌면서 실제 부의 척도도 바뀌었습니다. 모든 사회 계층의 여성, 심지어 노동 계층의 여성도 작은 코스튬 쥬얼리를 소유할 수 있었습니다. 평범한 도시와 시골 여성들도 저렴하면서도 세련된 이 대량 생산 보석을 상당량 구입하고 착용할 수 있었습니다. 코스튬 쥬얼리는 20세기 중반에 다양한 디자이너에 의해 대중화되었습니다. 코스튬 쥬얼리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이름 중 일부는 고가와 저가 브랜드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코스튬 쥬얼리의 대중화에 중요한 요인은 할리우드 영화였습니다. 1940년대와 1950년대의 주요 여성 스타들은 종종 다양한 디자이너가 제작한 작품을 착용했습니다. 영화 <엘리자베스의 스캔들(The Private Lives of Elizabeth and Essex)>에서 베티 데이비스(Bette Davis)가 착용한 목걸이를 원했다면 원본을 만든 조셉 오프 할리우드(Joseff of Hollywood)에서 복제품을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비비안 리(Vivien Leigh), 엘리자베스 테일러(Elizabeth Taylor), 제인 러셀(Jane Russell)과 같은 스타가 영화나 광고에 출연하면서 울월스(Woolworth)와 같은 매장에서 구입한 보석을 일반인들도 소유하고 착용할 수 있었습니다.
코코 샤넬은 패션 디자이너로 활동하던 시절에 모조 보석을 대중화하여 금과 가짜 진주로 코스튬 쥬얼리를 생동감 있게 표현했습니다. 샤넬의 디자인은 비잔틴과 르네상스의 영향을 포함한 다양한 역사적 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종종 십자가와 정교한 금속 세공이 특징입니다. 그리포아 가문과 같은 유리 제작자와의 협업을 통해 풍부한 색상의 유리 구슬과 모조 보석을 도입하여 높은 비용 없이도 깊이를 더할 수 있었습니다. 케네스 제이 레인은 1960년대부터 재키 오나시스, 엘리자베스 테일러, 다이애나 브릴랜드, 오드리 헵번을 위해 독특한 작품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엘자 스키아파렐리는 살바도르 달리와 협업하여 초현실주의적 영향을 의상 보석 디자인에 도입했습니다.
결국 고급 패션 보석은 "컬렉션"의 지위를 얻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증가했습니다. 오늘날 빈티지 패션 쥬얼리는 상당한 2차 시장이 생겨났습니다.비즈니스와 산업
코스튬 쥬얼리는 패션 액세서리의 개별 범주로 간주되며 자립형 산업의 많은 특징을 보여줍니다. 코스튬 쥬얼리 제조업체는 전 세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와 지역 전체 경제가 이 산업으로 좌지우지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인권 문제부터 제조 공정에 이르기까지 보석 제조/생산에 대한 다양한 규정이 부족하다는 것에 대해 상당한 논란이 있었습니다.
공급망의 일부로서 미국과 다른 국가의 도매상은 제조업체로부터 코스튬 쥬얼리를 구매하고 일반적으로 소매업체와 직접 거래하는 도매 유통업체 및 공급업체에 수입하거나 수출합니다. 전통적으로 도매업자들은 무역 박람회에서 새로운 공급업체를 찾았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이 점점 중요해지면서 방식이 바뀌었습니다. 소매업체는 인터넷에 사이트를 둔 수많은 도매상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사이트 중 일부는 코스튬 쥬얼리를 대폭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면서 마케팅하기도 합니다.개인적인 취미를 위해 또는 Etsy와 같은 사이트에서 소규모로 판매하기 위해 집에서 보석을 만드는 추세도 주목할만한 관행입니다. 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인공 또는 모조 보석에 대한 수요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기도 합니다.
'패션 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아 오트 쿠튀르의 역사와 특징 (0) 2025.03.10 칵테일 드레스의 개념과 스타일 (0) 2025.03.10 드레이핑과 게더링: 디자인 기법 (0) 2025.03.09 패션에서의 기하학 도입의 역사 (0) 2025.03.09 오트 쿠튀르: 패션 하우스의 창조된 패션 (0) 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