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GHT SIDE

Fashion + Culture + Style

  • 2025. 3. 19.

    by. brightsider

    목차

      패션 세계에서 순수주의(Purism) 및 클린 시크(Clean Chic)는 미니멀리즘과 종종 혼동되곤 하지만, 이들은 각각 고유한 철학과 미적 기준을 바탕으로 다르게 정의됩니다. 이들 각각의 개념은 단순함을 추구하지만, 그 방식이나 목표는 미세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순수주의와 Clean Chic의 개념을 설명하고, 미니멀리즘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구분하며, 이들이 패션 디자인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lean chic

       

      순수주의(Purism)란 무엇인가?

       

      순수주의는 일종의 미학적 접근으로, 예술이나 디자인에서 ‘본질적인 것’에 집중하는 철학입니다. 20세기 초반, 특히 1910년대에 피에르 몽드리안(Piet Mondrian)과 같은 예술가들이 이를 대표했으며, 그들은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본질적인 형태와 색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창작을 했습니다. 패션에서 순수주의는 이러한 접근법을 바탕으로, 간결하고 간단한 형태를 강조하면서도 의류의 기능과 형태가 본래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합니다.

      순수주의는 단순히 디자인을 간소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 본질적 가치에 충실하면서도 장식적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는 방향으로 발전합니다. 순수한 형태나 기능적 미학을 강조하며, 흔히 재료나 디테일이 고급스럽고 정교한 방식으로 다뤄집니다. 디자인에서 색상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선택은 ‘본질적’이어야 하며, 불필요하게 감각적인 요소나 과도한 장식을 제거한 후 남은 형태가 순수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패션에서 순수주의는 단순한 ‘미니멀함’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심오한 철학적 기반을 둡니다. 이는 종종 구성의 균형이나 형태의 정제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옷이 전하는 메시지와 아름다움이 단순한 형태에서 나오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클린 시크(Clean Chic)란 무엇인가?

       

      클린 시크는 말 그대로 ‘깔끔한 세련됨’을 추구하는 스타일로, 과도한 장식 없이 세련되고 세심하게 디자인된 의류를 말합니다. 이 스타일은 ‘정제된 우아함’을 추구하며, 패션의 세계에서 깔끔하고 청결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클린 시크는 미니멀리즘보다는 다소 더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적이고 실용적인 스타일을 중시하면서도 각 의상에 담긴 섬세한 디테일과 품질을 중요시합니다.

      클린 시크는 시대와 트렌드를 초월하는 세련된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각 아이템은 그 자체로 ‘기본적이고 클래식한’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스타일은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장식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깔끔하면서도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링을 지향합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테일러드 수트나 클래식한 원피스가 대표적입니다. 클린 시크는 겉으로 드러나는 형태와 단순성 외에도 고급스러운 재질과 정교한 디테일에 큰 비중을 두며, 그로 인해 시각적으로는 ‘단순하지만 완성도 높은’ 스타일이 됩니다.

       

      미니멀리즘과의 차이점

       

      순수주의는 미니멀리즘보다 더 깊이 있는 철학적 접근을 취하며, "본질적 아름다움"을 강조합니다. 순수주의는 불필요한 장식이나 형태를 제거하고 본래의 형태와 기능에 충실하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예술적 또는 철학적 깊이를 함께 고려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즉, 미니멀리즘이 '단순화'에 중점을 둔다면, 순수주의는 '본질적이고 정제된 미학'을 강조합니다.

      클린 시크는 미니멀리즘이나 순수주의보다 보다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전달합니다. 단순함을 추구하지만, 그 단순함이 결코 차갑거나 감각을 잃은 것이 아니라, 세련됨과 우아함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실용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감각을 유지하며, 트렌드나 시즌에 구애받지 않는 스타일을 선호합니다.

       

      패션에서의 적용

       

      순수주의적 패션

      * 디자인: 간결한 형태와 실용적이지만 기능적인 미학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깔끔한 라인의 테일러드 수트나 단순한 실루엣의 드레스가 순수주의적인 요소를 가집니다.
      * 색상과 재료: 순수주의는 재료의 본연의 질감을 중시하며, 과도한 색상이나 패턴을 배제합니다. 예를 들어, 흑백 또는 중립적인 색상조합을 활용하고, 고급스러운 자연 재료가 자주 사용됩니다.

       

      클린 시크 패션

      * 디자인: 기본적인 아이템에 초점을 맞추고, 그 아이템들이 어떻게 세련되게 표현될 수 있을지를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깔끔한 셔츠와 슬랙스 조합, 고급스러운 블라우스와 스커트 등이 대표적입니다.
      * 디테일: 고급스러운 디테일을 중요시합니다. 즉 정교하게 마감된 테일러링, 우아한 실루엣, 고급스러운 재질 등이 특징적입니다.

       

       

      대표 디자이너들

      순수주의(Purism)와 클린 시크(Clean Chic)는 각기 다른 패션 철학을 바탕으로 다채로운 디자인을 만들어낸 스타일들이기 때문에, 이들을 대표하는 디자이너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디자인을 풀어냅니다. 이 디자이너들은 스타일의 본질을 탐구하며 패션을 더 간결하고 세련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각 스타일을 대표할 수 있는 디자이너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순수주의를 대표하는 디자이너들

      순수주의는 주로 ‘본질’과 ‘정제된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디자인 철학으로, 장식적이지 않으며 형태나 색의 단순화가 두드러집니다. 이 스타일을 잘 표현하는 디자이너들은 그들의 작업에서 순수하고 간결한 형태를 통해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미학을 강조합니다.

      * 피에르 발망 (Pierre Balmain): 피에르 발망은 우아하고 정제된 디자인으로 유명한 디자이너입니다. 그의 디자인은 패셔너블한 순수주의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발망은 고급스러운 소재와 디테일에 신경을 쓰면서도 과도한 장식 없이, 형태의 본질을 살린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그의 스타일은 클래식하면서도 정제된 감각을 지니고 있으며, 깔끔한 라인과 단순한 실루엣이 특징입니다.

      * 헬무트 랭 (Helmut Lang): 헬무트 랭은 1990년대 초반에 등장해 순수주의적 미학을 패션에 적용한 디자이너로 유명합니다. 랭의 디자인은 기하학적인 실루엣과 심플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의 작업은 종종 ‘순수한 형태’에 대한 탐구로 설명됩니다. 그는 특히 모던하고 절제된 스타일을 통해 형태와 재질의 순수함을 강조하며, 불필요한 장식을 배제하고 직선적이고 깔끔한 라인을 강조했습니다.

       

      클린 시크를 대표하는 디자이너들

      클린 시크는 깔끔하고 세련된 스타일을 추구하는 디자인 철학으로, 단순하지만 우아한 느낌을 지닌 의상들을 만들어냅니다. 이 스타일은 ‘깔끔한 세련됨’을 중시하며, 장식 없이도 고급스럽고 세련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 클로에 (Chloé): 클로에 브랜드는 청순하고 세련된 클린 시크는 대표하는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특히 클로에의 창립자 가브리엘라 허스트는 ‘깔끔하고 우아한’ 패션을 추구하며 클린 시크의 선구자로서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클로에의 디자인은 항상 여성스러운 라인과 편안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과도한 장식이나 복잡한 형태를 배제하고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실루엣을 강조합니다.

      * 마르니 (Marni): 마르니는 단순하면서도 모던한 우아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로, 클린 시크를 잘 나타냅니다. 이 브랜드의 디자인은 색상과 형태의 조화로운 배치를 통해 정제된 아름다움을 강조합니다. 마르니의 의상은 부드러운 실루엣과 고급스러운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너무 과하지 않게 세련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간결하지만 고급스러운 스타일을 추구하는 디자이너로서 클린 시크의 미학을 잘 표현합니다.


      현대 패션 세계에서의 위치


      순수주의와 클린 시크는 미니멀리즘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그 핵심 철학이나 목표는 다릅니다. 순수주의는 본질적인 미학과 철학적 깊이를 중시하는 반면, 클린 시크는 실용적이고 세련된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미니멀리즘은 불필요한 모든 것을 제거하려는 극단적인 접근을 취합니다. 각 스타일은 패션의 세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교차점은 현대 패션에서 더욱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